◇언택트 사회 ‘핵심기반기술’ 지원=적극적인 연구개발(R&D)을 통해 비대면 산업의 기반이 될 클라우드, AI, VR·AR, 5G분야 비대면 요소별 기술을 확보한다. 또, 미래형 비대면 서비스를 확산하는데 그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온라인 AI교육 플랫폼, 미래 실감형 디지털워크 솔루션, ICT 기반 디지털 의료기기 개발 등 비대면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한다. 이와함께 공공부문 클라우드 도입 제도를 개선하고, 민간 클라우드 사업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이용을 지원할 방침이다.
◇언택트 사회 ‘보안기술’ 지원=비대면 서비스 보안기능을 강화하고, 품질향상 등을 위한 정보보호 기술개발을 강화한다. 신규 비대면 솔루션을 론칭하는 벤처기업 등을 대상으로 자발적 인증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민간 보안업체 등과 협업해 보안에 취약한 기업을 직접 찾아가 보안 서비스를 제공한다.
◇언택트 사회 ‘디지털라이프’ 지원=공공행정 서비스 분야에서는 전면적인 비대면 서비스를 위한 전자정부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추진한다. 또 블록체인, 분산인증(DID) 등 최신 인증기술을 활용한 안전한 전달체계도 마련한다. 미디어 산업 분야에서는 비대면 생활방식 확산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수요 확산에 대비해, 국내 OTT 등 디지털 미디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이와함께 디지털역량, 정보화, 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통해 ICT 기반의 사회적 기여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중기이코노미 채민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