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촉발된 언택트 사회가 생활방식과 경제구조를 바꾸고 있다. 비대면과 원격경제 시대를 맞아 산업구조 재편에 대비해야 한다." (김상선 KISTEP(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원장)
"코로나19가 가져온 생활방식 변화는 상황이 진정돼도 바뀌지 않을 것이다. 자율주행차와 자율주행로봇 일상화가 더 빨라질 것이다." (이재호 카카오모빌리티 디지털경제연구소장)
모빌리티, 소비·유통, 스마트 워크, 교육 등 생활과 산업 전반이 코로나19발 격변을 경험 중인 가운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한 비대면 경제시스템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코로나19가 기술진화와 사람들의 생활방식 변화를 앞당기면서 자율주행차, 자율주행로봇, 라스트마일 배송서비스 등 신산업이 당초 전망보다 빠르게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재호 카카오모빌리티 디지털경제연구소장은 "대중교통, 자가용 이용 등 이동방식은 습관의 영역인 만큼 코로나발 변화가 이후에도 바뀌지 않을 것"이라면서 "특히 기술진화가 사람들의 수요가 맞물리면 자율차 같은 신산업 성장을 앞당길 것"이라고 밝혔다.
이 소장은 KISTEP이 '비대면 경제의 시작,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14일 개최한 온라인포럼에서 관련 발표를 했다.
이 소장에 따르면 코로나19로 대중교통과 승차공유·택시·공유택시는 이용자가 줄어든 반면 일반 차량공유와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사용이 증가했다. 1월 초·중순과 1월말~2월 중순을 비교한 결과 카카오내비 호출이 평균 8% 줄었다. 반면 차량공유(카셰어링) 서비스인 쏘카와 그린카의 건당 이용시간, 전동킥보드 공유서비스 스윙과 킥고잉의 출퇴근 시간 이용건수는 크게 늘었다. 카카오 T바이크의 3~4월 기기당 운행완료 수도 작년 동기보다 크게 증가했다. 이에 비해 글로벌 승차공유 시장은 20~80% 감소하고, 국내 대중교통 이용도 크게 줄었다. 3월 마지막 주 서울 지하철 이용객 수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39% 줄었다.
반면 자율주행에 대한 관심은 커졌다. 특히 구글 웨이모는 운전보조자 동석 서비스를 중단하는 대신, 한 단계 앞선 방식인 운전자 없는 서비스는 계속 하고 있다. 중국 등에서는 자율주행 로봇이 방역, 생활용품 배송 등을 담당했다.
이 소장은 "코로나19 영향으로 보조운전자가 필요 없는 진정한 자율주행 시대가 더 빨리 올 수 있을 것"이라면서 "정부가 경제회복을 위한 디지털뉴딜에 모빌리티를 중요한 키워드로 포함시켜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