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 Inside9

초거대AI 해외 기술 동향! GPT-3, 람다🤖 최근 Open AI가 개발한 인공지능(AI) 챗봇 ‘챗GPT’가 핫이슈인데요~ 인간 고유의 영역이라고 여겨지던 부분마저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지만, 한편으로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초거대 인공지능 기술 해외 동향을 소개하며 초거대AI에 대한 기초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 초거대 AI란? ‘초거대 AI’는 데이터 분석과 학습을 넘어 인간의 뇌처럼 스스로 추론하고 창작할 수 있도록 방대한 데이터와 파라미터(매개변수)를 활용하는 AI 모델을 말하는데요~ 이때 인공신경망의 파라미터는 인간 뇌의 뉴런 간 정보전달 통로인 시냅스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 AI의 발전은 우리가 예상하는 것보다 발전 속도가 빠르며, 초거대 AI의 등장은 빠른 속도의 발전과 글로벌 ICT 기업들의 .. 2023. 2. 16.
스마트 팩토리? 디지털 전환? 데이터 관리만큼 시간 관리가 중요❗ ‘스마트 팩토리’는 듣는 사람에 따라 여러가지 장면을 떠올리게 한다. 정해진 동선을 움직이며 조립을 하는 로봇 팔, 공장 곳곳에 설치된 PC 화면을 들여다보는 직원, 원재료를 운반하고 있는 자율 주행 로봇 등… 이렇게 다양한 제조 현장의 모습을 떠올리게 되는 이유는, 각자가 생각하는 ‘팩토리’의 모습이 비슷비슷한 반면에 '스마트'라는 단어에 대한 나름의 정의는 조금씩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 ‘스마트화’에 대한 사전적 정의는 ‘기계 따위의 성질이나 기능이 점점 더 뛰어나거나 좋아짐. 또는 그렇게 만듦.’이다. 스마트 팩토리는 쉽게 말해서 ‘똑똑한’ 제조 공정을 구현한다는 것이고 그 과정이 디지털 전환이며 이를 위해 가장 많이 부각되는 수단은 ‘데이터’다. 제조 공정의 단순 자동화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 2022. 12. 22.
[Tech Inside 7호]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보호 오늘날 온•오프라인 영업을 통해 수익창출을 하는 대다수의 기업들은 회원정보를 비롯해 신용카드 번호, 결제정보, 사회보장번호 등 수많은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기업은 수집된 개인정보 데이터들을 책임지고 안전하게 보호해야 하며, 특히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하지만, 21세기 들어 수백만명 이상의 개인정보 데이터를 손상시킨 침해 사건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적게는 수백만 건에서 수십억 건의 개인정보 데이터가 유출되고, 유출된 데이터는 각종 범죄에 악용되거나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스팸 마케팅 등에 이용되곤 한다. 이러한 사건들은 해커에 의한 악의적인 공격으로 데이터를 도난당한 경우도 있고, 내부자 범죄나 기업이 실수로 데이터를 보호하지 않고 노출시킨 사례도 있어 데이터 보안.. 2022. 11. 24.
[Tech Inside 6호]인공지능(AI)이 할 수 있는 것vs할 수 없는 것 본 백서에서는 인공지능의 기본 개념에 대해 간략히 짚어보고, 인공지능을 실무에 적용하는 과정, 또는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일을 살펴본다. ​ ​ 📑 한눈에 보기 인공지능은 무엇일까? AI가 할 수 없는 것들 AI가 잘하는 것들 결론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은 무엇일까? ​ 이에 대한 엄밀한 정의 대신 이 글에서는 ‘기존의 데이터에서 패턴을 찾아낸 후 새로운 데이터가 암시하는 바를 예측하는 컴퓨터 기술’ 정도로 정의해도 무방하겠다. 일반적으로 기대하는 정의와 사뭇 달라서 실망스러울 수도 있겠지만 아직까지 AI는 이 정도 수준이다. 또한, 아래 [이미지1]와 같이 인공지능의 범주 안에서 패턴을 찾거나 예측하는 과정에서 인공신경망을 사용하면 딥러닝(deep learn.. 2022. 10. 18.
[Tech Inside 5호] 메타버스의 정의와 구현 방법 요즘 가장 뜨거운🔥, 그리고 자주 언급되는 메타버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메타버스 및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메타버스 플랫폼을 오픈하기 위해 어떤 기술 요소들이 필요한지 알아본다. ​ 📑 한눈에 보기 메타버스 구성 요소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엔진 메타버스 구현 환경 알서포트의 메타버스 ​ 메타버스(Metaverse)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메타(meta)’와 경험 세계, 현실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이다.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사라진 세상을 의미하는 단어의 결합 그대로 가상의 세계를 마치 현실의 세계처럼 살아가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개인과 기업이 함께 콘텐츠를 생산하며 자유롭게 놀 수 있고, 소비할 수 있는 경제 구조를 가졌기에 메타버.. 2022. 10. 12.
[알서포트 Tech Inside4호] “초거대 인공지능 기술 동향 및 개발 경쟁" 2부 🔹1부: 초거대 인공지능 정의와 해외 기술 동향 🔹2부: 국내 초거대 AI 기술 동향 및 국내외 초거대 AI 기술의 한계와 과제 ✔ 현재 전 세계 IT 분야의 화두는 ‘초거대 AI(Hyper-scale AI)’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AI 기술이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 인공지능(AI) 보다 진일보한 ‘초거대 AI’의 등장으로 글로벌 ICT 기업들의 경쟁은 더욱 과열되고 있다. 이에 국내외 초거대 AI(Hyper-scale AI) 기술 동향을 1부와 2부에 걸쳐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 앞서 1부를 통해 초거대 인공지능(Hyper-scale AI)의 정의와 특징을 알아보고, 해외 초거대 AI 기술 동향을 살펴봤다. 2부는 우리나라의 초거대 AI 기술 동향을 살펴본 후, 현재.. 2022. 8. 26.
[알서포트 Tech Inside3호] “초거대 인공지능 기술 동향 및 개발 경쟁" 1부 🔹1부: 초거대 인공지능 정의와 해외 기술 동향 🔹2부: 국내 초거대 AI 기술 동향 및 국내외 초거대 AI 기술의 한계와 과제 최근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가장 핫한 키워드는 ‘초거대 인공지능(Hyper-scale AI)’이다. 2020년 6월 오픈AI(OpenAI)가 발표한 GPT-3라는 자연어처리(NLP) 모델을 기반으로 획기적이고 창의적인 활용 사례들이 나오면서 글로벌 ICT 기업들의 관심이 증폭되었고, 최근에는 초거대 AI 모델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국내외 초거대 AI(Hyper-scale AI) 기술 동향을 1부와 2부에 걸쳐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1부에서는 초거대 AI의 정의와 특징은 무엇이며, 글로벌 ICT 기업들이 발표한 초거대 AI의 기술동향 및 개발경쟁 현황에 대해 .. 2022. 8. 17.
[Tech Inside2호] “다자간 화상회의에 최적화된 WebRTC 미디어 서버 아키텍처" WebRTC는 기본적으로 일대일(peer to peer, 이하 P2P) 미디어 통신(secured real time media transport) 기술의 세계 표준이지만, 다자간 화상회의나 방송 스트리밍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P2P 방식으로 다수 인원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할 경우 클라이언트 쪽의 과부하가 심해지기 때문에 이 때는 미디어 서버를 사용하게 된다. 이 글에서는 다자간 화상회의 구현 방법으로 앞서 말한 P2P 방식과 미디어 서버 활용 방식을 차례로 살펴보고, 알서포트 화상회의 리모트미팅(www.remotemeeting.com)팀에서 이러한 방식들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은 보완하여 ​하이브리드 미디어 서버(Hybrid Media Server)를 구현한 방법을 소개한다. ​ 다자간 화상.. 2022. 7. 1.
[알서포트 Tech Inside 1호] “디바이스 발열과 성능 저하 사이” 얼마 전 언론 보도에 GOS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했다. 이것 때문에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이탈 움직임을 보이면서 해당 기업이 매출 목표의 하향 조정을 고려한다는 말도 들렸다. 도대체 GOS가 뭐길래 이렇게 논란이 되었을까? ​GOS는 ‘게임 최적화 서비스(Game Optimizing Service)’를 뜻하는 용어로, 게임을 즐겨 하는 사용자가 아니라면 생소할 수 있다. ‘GOS’가 스마트폰 판매에 영향을 끼칠 만큼 중요한 이슈가 된 까닭은 바로 “게임(Game)”에 있다. 현재 수많은 게임들은 현실감, 몰입감을 제공하기 위해 엄청나게 화려하고 속도감 있는 영상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심지어 4K 고화질 해상도를 내세운 게임도 많아져 이제 1080p도 상대적으로 저성능 화질로 여겨질 정도다. 실감 나는 게.. 2022. 5. 9.